'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38건

  1. 2009.01.21 큐브 맞추기 (Rubik's Cube) 1
  2. 2009.01.16 SAPGui의 물결무늬 애니메이션 변경
  3. 2009.01.16 SAP에서 다른 사용자의 빠진 권한 확인하기 (Authorization check)
  4. 2009.01.13 영어 동요 MP3 다운로드 5
  5. 2008.12.30 직접 만드는 보드게임 - Coppit (Fang den Hut, German for Cap The Hat, 2~4인용)
  6. 2008.12.30 (완료)초대장 나눠드립니다.(2장) 4
  7. 2008.12.30 영어 동요 듣기, 가사, 악보 보기
  8. 2008.12.24 직접 만드는 보드게임 - Mill (2인용) 1
  9. 2008.12.22 동요 듣기, 악보, 가사 보기 2
  10. 2008.12.17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을 직접 만들자
2009. 1. 21. 15:09

큐브 맞추기 (Rubik's Cube)

반응형

방금 은행에 갔더니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는 동안 큐브를 풀 수 있도록 비치되어 있는 것을 봤습니다.
한 면만 맞추면 선물을 준다고 되어 있더군요.
제가 큐브를 처음 맞춰봤던게 초등학교 3학년 경이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그때 설명서에 있는 방법을 외워서 친구들 앞에서 여섯면을 다 맞추고선 우쭐해 했던 기억이 납니다.
항상 손에 들고 다니면서 빨리 맞추기도 하곤 했었죠. 최고 기록이 50초대였었죠. ^^;

 
<그림 출처 - http://www.maniacworld.com/>

가끔 TV에 큐브를 빨리 맞추는 사람들이 나오는 걸 보면 10여초만에 맞추더군요. 제가 알고 있는, 큐브에 딸려있는 설명서에 나와있는 방법이 아니라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맞추는 것 같았는데, 사실 예전에는 그러한 정보를 얻을 수가 없었었죠.
요즘은 인터넷의 도움으로 그러한 방법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해서 찾아봤더니... 국내 사이트는 회원가입등을 하지 않으면 설명서에 나와있는 방법외에는 얻기가 힘들더군요.
그래서 찾게된 외국 사이트입니다.
영국의 Dan Harris라는 사람의 홈페이지인데요, 사진상으로는 10대의 소년인데 'Speedsolving the Cube' 라는 책까지 썼군요.


여기에 가 보면 앞에서 초보자를 위해 맞추는 방법을 아주 쉽게 설명해 놓고 있습니다. (영어라는 문제가 있지만 동영상도 제공합니다.)

그리고 보다 빠르게 맞추기위한 SpeedCubing system도 3가지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런 system을 사용하면 평균 11초대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하네요. 그런데 그 시스템이라는게 Cube의 각 면의 색깔들의 위치를 보고 그에 맞는 방법을 사용하여 맞추는 것입니다. 대략 500가지의 경우에 대해 그걸 맞추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그 500가지 경우와 해법을 모두 외우고 큐브의 색깔을 순식간에 분석하여 그 경우에 맞는 방법을 사용하여 맞춘다는 거죠.
각각의 해법들은 모두 그림으로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일반적인 3x3 형태의 큐브외에 2x2, 4x4, 5x5의 해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큐브 경기 규칙이라든지 경기 동영상등 다양한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큐브를 처음 시작하는 분이나 좀 더 빨리 맞추고 싶은 분들에게 아주 좋은 사이트라 생각이 되네요.


반응형
2009. 1. 16. 14:26

SAPGui의 물결무늬 애니메이션 변경

반응형
SAPGui의 아래 그림처럼 오른편 상단에 보면 작업중임을 알려주는 물결무늬 애니메이션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 애니메이션은 아래 파일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C:\Program Files\SAP\FrontEnd\SAPgui\themes\enjoy\sapalogo.bmp
이 위치는 SAPGui 버전이나 OS에 따라 약간씩 다를 겁니다. 위의 위치는 SAPGui 7.0 + Windows Vista의 경우이고 다른 경우에도 SAPGui가 설치된 위치의 themes에 default나 enjoy라는 폴더 밑에 보시면 sapalogo.bmp라는 파일이 있을 겁니다.

이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보입니다. 가로로 더 길게 되어 있는데 일부만 잘라서 본 그림입니다.


실제 이미지 크기는 4059x60로 되어 있고 SAP라는 반복되는 이미지가 33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123x60 만큼씩의 이미지 frame을 연속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물결이 이는 것 같은 애니메이션 효과를 보여주게 됩니다.

이제 이 이미지파일을 다른 이미지 파일로 교체해 본 그림입니다.


그냥 한 frame 크기인 123x60의 bmp파일을 sapalogo.bmp로 이름을 바꿔 본 것입니다.
이미지가 바뀌는 속도가 아주 빠르기 때문에 제대로 애니메이션 효과를 보려면 원본처럼 33개 정도의 frame으로 이루어진 파일을 만들어야만 되겠네요.

마찬가지로 작업시 시계가 돌아가는 SAPGui 왼쪽 하단의 애니메이션도 sapclokl.bmp파일을 이용해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마 실제 쓸 일은 거의 없는 내용이겠네요.
반응형
2009. 1. 16. 13:03

SAP에서 다른 사용자의 빠진 권한 확인하기 (Authorization check)

반응형
SAP를 사용중에 아래와 같이 권한이 없다는 에러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SU53

자신의 경우 T-code SU53을 실행하여 필요한 권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이 자신의 권한을 확인해 달라는 요청이 올 경우도 SU53에서 직접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권한을 점검하고자 하는 User ID로 권한이 없다는 메시지가 나왔을때 SU53을 실행시키게 합니다.
2. 이제 본인이 SU53으로 접속합니다.
SU53

여기서 F5 또는 세번째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3. 새롭게 뜬 창의 "User"란에 권한 문제가 있는 User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SU53


4. 아래와 같이 다른 User의 권한 점검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SU53


여기서 주의할 점은 반드시 1번을 먼저 실행하고 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remote로 다른 User ID의 권한을 점검하는 것은 실제로 권한 점검을 새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User ID로 점검했던 내용을 읽어오는 것입니다.
따라서 1번을 생략할 경우 권한 점검이 성공했다는 메시지 (Authorization check was successful)만 보이거나 혹은 현재 문제와 상관없는 이전에 권한 점검을 했었던 내용이 보이게 됩니다.
반응형
2009. 1. 13. 12:45

영어 동요 MP3 다운로드

반응형
지난번에 영어 동요 듣기 사이트들을 몇개 정리하여 올렸었습니다.


오늘은 영어 동요 MP3를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MP3, 가사, 코드를 다운받을 수 있는 곳 (음악가 별 정렬)

MP3를 다운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위 사이트로 접속하면 오른편에 아래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영어 동요 MP3 다운로드
우선 제일 위의 Google Search에서 찾고자 하는 노래 제목을 입력하고 검색하면 해당 노래를 보실 수 있습니다.
조금 아래 CONTEMPORARY라는 부분에는 현대 동요를 음악가 이름 순으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그 아래 TRADITIONAL에서는 우리가 많이 아는 전통 동요들을 알파벳 순으로 모아 둔 곳입니다.

아래는 Google Search에서 The Muffin man이라는 노래를 찾기 위해 muffin만을 입력하고 찾아 본 결과 입니다.


첫번째 link는 해당 노래로 바로 갈 수 있고 두번째 link는 전통적인 동요를 모아둔 곳에 대한 link입니다.
첫번째 link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기본적으로 가사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영어 동요 MP3 다운로드

여기서 중간 세게 버튼 중에 "HI-QUALITY MP3 DOWNLOAD"를 누릅니다. 혹시 음악을 듣는 화면으로 간다면 버튼을 누르지 말고 마우스 오늘쪽 버튼을 누른 후 "링크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눌러 저장하면 됩니다.
영어 동요 MP3 다운로드

반응형
2008. 12. 30. 16:59

직접 만드는 보드게임 - Coppit (Fang den Hut, German for Cap The Hat, 2~4인용)

반응형
직접 만드는 보드게임 두번째 입니다.
2~4인이 할 수 있는 게입입니다.

아래에 첨부된 PDF파일을 컬러로 인쇄하시고 4가지 색깔의 말은 잘라서 풀칠하여 만드시면 됩니다.

이번 보드게임은 여러가지로 만드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네요.
아래 그림처럼 원을 52개의 칸으로 나누는 것도 쉽지 않았고,
말을 만들기 위해 원뿔 전개도 그리는 것도 오랜만에 해 보는 수학문제였네요 ^^;

어쨌던 꽤나 괜찮게 만들어진 것 같아 만족스럽습니다.


Coppit (Fang den Hut, German for Cap The Hat)
영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상대방의 말(모자)을 잡아 오는 게임입니다.
Wiki에 보면 1927년에 Otto Maier Verlag라는 사람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하네요.
2~6명이 할 수 있는 게임이라고 설명이 되어 있는데 제가 올린 파일은 2~4명인용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처럼 4개의 둥근 원이 각 플레이어가 사용할 홈입니다. 6인용은 가운데 원을 4등분하는 X자에서 줄을 하나 더 그어서 원을 6등분하여 각 플레이어의 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Coppit 보드


준비물
- 출력하여 만든 보드와 색깔별 말, 그리고 주사위 1개

게임목표
- 상대방의 말을 잡아 자신의 홈에 감금시키고 자신의 말은 마지막까지 살아남아야 합니다.

게임방법
- 각자 게임에 게임에 사용할 말의 색깔과 개수를 정합니다.

- 보드 각 모퉁이에 있는 자신의 말과 같은 색깔의 원이 자신의 홈으로, 그 홈안에 자신의 말들을 모두 놓습니다.

- 주사위를 던져 많은 숫자가 나온 사람부터 진행합니다.

-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수만큼 자신의 말 중 하나를 이동시킵니다. 

- 말은 자신의 홈 밖으로 하나 이상이 나가 있어야 하며, 한 번 나간 말은 홈 안으로 다시 들어올 수는 없습니다.

- 말은 앞, 뒤, 좌, 우 어느 방향으로도 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사위에 나온 숫자만큼 움직이는 중간에는 지나온 칸으로 다시 돌아갈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주사위 5가 나왔을 경우 3만큼 시계방향으로 간 후 2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되돌아 올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3만큼 간 칸이 갈림길이라면 나머지 2만큼을 어느쪽으로든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만약 6이 나온다면 한 번 더 주사위를 던질 수 있습니다.

- 자신의 말이 이동해 간 칸에 정확히 상대방의 말이 위치해 있다면 그 말 위에 자신의 말을 씌우게 되며, 이것은 상대방의 말을 잡은 것이 됩니다. 말이 잡힌 상대방은 더 이상 그 말을 움직일 수 없습니다. 

- 상대방의 말을 잡아서 홈으로 돌아오는 도중에도 자신의 말이 상대방에 의해 잡힐 수도 있습니다.

- 이렇게 말들이 잡혀서 쌓이게 되면 제일 위에 있는 말에 의해 하나의 말처럼 움직이게 됩니다.

- 만약 자신이 잡은 말들 중에 자신의 다른 말이 있다면 그 말은 바로 풀려나 같은 칸에 위치하게 됩니다.

- 만약 잡은 말들을 가지고 자신의 홈으로 돌아오게 되면 상대방의 말들을 자신의 홈에 영원히 감금시키게 되고, 그 말들은 더 이상 게임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홈으로 돌아왔다는 것은 자신의 홈과 붙어 있는 칸에 도착했다는 것을 말합니다.

- 자신의 홈에 도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주사위 숫자가 필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홈까지 3칸이 남았고 주사위가 5가 나왔다면 세 칸만큼 진행하여 자신이 잡은 말을 감금시킨 후 나머지 두 칸을 더 진행하게 됩니다.

- 보드위의 색깔이 다른 칸들은 휴식공간으로, 그 곳에 있는 말은 잡을 수가 없습니다.

- 마지막까지 자신의 말이 남아있는 사람이 게임을 이기게 됩니다.

반응형
2008. 12. 30. 15:46

(완료)초대장 나눠드립니다.(2장)

반응형
오늘 확인해 보니 저에게도 초대장이 2장 생겼네요.
필요하신 분 연락주시면 나눠드리겠습니다.
반응형
2008. 12. 30. 13:59

영어 동요 듣기, 가사, 악보 보기

반응형
우리나라 동요에 이어서 영어 동요를 듣고 가사를 볼 수 있고 악보까지 출력할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아 보았습니다.
그런데 맘에 들 만큼 잘 정리되어 있는 사이트가 눈에 띄지 않네요.
그래서 그 중에 몇가지 괜찮은 사이트를 소개 합니다.
각 사이트별로 동요 내용과 제공되는 것이 약간씩 다르니 한 곳에서 찾는 곡이 없다면 다른 곳에서 찾아 보세요.

듣기, 가사, 악보 모두 제공하는 곳(일부 곡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피아노, 기타 악보와 미디음악 제공하는 곳

듣기, 가사 제공하는 곳

MP3를 다운 받을 수 있는 곳에 대한 내용 추가합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첫번째 사이트는 기본적으로 가사가 제공되며 대부분의 노래에 듣기가 제공됩니다.
그러나 악보는 메일 ID를 제공하면 메일을 통해 다운 받을 수 있는 위치를 알려줍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다양하게 노래를 찾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우선 검색을 통해서 찾을 수 있고 ABC 순으로 index되어 있는 노래 제목을 통해 찾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Subject Index는 동요의 주제별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영어동요


아래는 주제별로 나온 동요 list입니다.
제목 옆에 음표가 붙어 있는 노래는 듣기를 제공하는 것이고 그게 없는 노래는 가사만 제공이 됩니다.
영어동요


메일ID와 이름으로 sign-up하면 메일로 악보를 받을 수 있는 URL을 보내 줍니다.
그 URL로 접속을 하면 아래와 같이 악보를 PDF로 제공해 줍니다. 
앞서 본 노래 list와는 별도의 list로 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영어동요


다른 두 사이트는 아주 직관적이고 다운로드하는데도 별도의 sign-up이 필요 없습니다.
반응형
2008. 12. 24. 14:10

직접 만드는 보드게임 - Mill (2인용)

반응형
지난 추석때 추억의 보드게임인 뱀주사위 놀이를 업그레이드시킨 3D 뱀주사위 놀이를 사 줬었습니다.
유치원생부터 초등학교 고학년까지 사촌들끼리 모두 모여 신나게 놀더군요.
이기기위해 룰을 살짝 어기거나 우기느라 조금 다투기도 했지만 그런 상황을 겪어보고 해결해 가는 것도 배워야 될 과정이라 생각하고 내버려뒀었습니다.
제 돈 주고 산 게임이나 장난감 중에 값어치를 제대로 한 것 같아 기분이 좋더군요.
 
연말에 연휴도 많고 또 곧 설도 있고 해서 같이 즐길 수 있는 보드게임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집에서 수많은 게임을 다양하게 즐기려면 돈이 꽤나 많이 들겠더군요.
그래서 보드게임 중에 간단히 직접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보드게임을 찾아 보았습니다.

Mill (아래 pdf파일을 출력하시면 됩니다. 흑백의 말은 바둑알을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아마 어렸을때 한 번 쯤 해 보신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생각을 잘 해야만 이길 수 있는 게임입니다.

준비물
- 출력하여 만든 보드와 말, 가능하면 말 대신 바둑알

게임목표
- "Mill"을 만들어 상대방 말이 두개가 남을때까지 제거합니다.


게임 방법

- 한 사람은 흑말 9개, 다른 사람은 백말 9개를 가집니다.

- 먼저 순서를 정한 후 2명이 한 번씩 번갈아 가며 가로, 세로, 대각선이 겹친 곳 중 비어 있는 곳에 말을 놓아갑니다. 흑백 총 18개의 말이 모두 보드에 놓일때까지 반복합니다.

Mill 보드

- 이렇게 놓아 가는 중에 자신의 말이 가로, 세로 혹은 대각선으로 연달아 3개가 놓이면 "Mill"을 이루게 되며, 이렇게 되면 보드에 놓인 상대방의 말 중 하나를 제거합니다. 이때 제거하려는 상대방의 말은 우선적으로 "Mill"을 이루고 있지 않은 것 중의 하나여야 하며 만약 모든 말이 "Mill"을 이루고 있다면 그 중의 하나를 제거합니다.

Mill 보드
      
Mill 보드

(흑말 3개가 나란히 놓여 "Mill"이 되었습니다. 밀이 되면 바로 상대방의 말 중 하나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제거된 말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처음 가지고 있던 모든 말이 보드에 놓이면, 한 번씩 번갈아 가며 자신의 말을 줄을 따라 한 칸 떨어진 곳의 빈 곳으로 옮깁니다.

Mill 보드

(자신의 말 중 하나를 비어있는 옆 칸으로 옮깁니다.)

-이때 자신의 말이 "Mill"을 이루게 되면 역시 보드에 있는 상대방 말 중 하나를 제거합니다. 역시 이때 제거하려는 상대방의 말은 우선적으로 "Mill"을 이루고 있지 않은 것 중의 하나여야 하며 만약 모든 말이 "Mill"을 이루고 있다면 그 중의 하나를 제거합니다.

- 한 번 "Mill"을 만든 말들은 다른 곳으로 옮겨 "Mill"이 안되게 한 후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Mill"을 만들 수 있습니다.

Mill 보드
   
Mill 보드

("Mill"이 되어 있는 말을 옮겨 "Mill"이 안되게 한 후 다음번 자신의 차례에 다시 "Mill"을 만듭니다.)

- 동시에 2개의 "Mill"을 만들게 되면 상대방의 말 2개를 제거 할 수 있습니다.

Mill 보드

(흰 말을 아래로 내리면 가로와 대각선으로 두개의 "Mill" 생성)

- 만약 게임 중 자신의 차례에 움직일 수 있는 말이 하나도 없다면 그 게임은 비기게 됩니다.

Mill 보드

(흑의 차례에 다음과 같이 되었다면 게임은 비기게 됩니다.)

- 이렇게 계속 번갈아 가며 게임을 진행하며 상대방의 말이 보드위에 2개만 남게 되면 게임을 이기게 됩니다.

Mill 보드

(백의 승리)


게임을 해 보시면 알겠지만 먼저 말을 놓는다고 유리한 건 아닙니다.

"Mill"을 만든 후 다음 "Mill"을 만들기 위해 유리한 곳, 상대방의 "Mill"을 방해하기 위해 유리한 곳에 말을 놓고, 상대방의 방해를 받지 않고 계속해서 "Mill" 만들 수 있는 곳을 어떻게 만들어가느냐가 승리의 중요한 요소가 되겠습니다.

앞의 예에서 흑이 먼저 말을 놓고 첫 번째 "Mill"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이후에 계속해서 백에게 두번의 "Mill"을 허용하게 되었고 모든 돌이 놓인 후에도 일방적으로 백에게 계속 "Mill"을 허용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흑은 새로운 "Mill"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말을 3번 움직여야 하지만 백은 두번만으로 계속해서 "Mill"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2008. 12. 22. 14:04

동요 듣기, 악보, 가사 보기

반응형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요의 악보를 찾아 보다가 동요들이 잘 정리되어 있고, 쉽게 검색이 가능하고, 관련된 정보들을 함께 제공해 주는 좋은 사이트를 찾게 되었습니다.


우선 아주 방대한 양의 동요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동요는 가나다 순으로 검색할 수도 있고 작사, 작곡자로 검색을 하거나, 가사로 검색할 수도 있고, 창작동요, 고전동요등의 장르로도 검색이 가능합니다.
동요 제목을 정확히 몰라도 가사 한두 마디만으로 검색이 가능하겠네요.
또한 장르별로 선택하여 여러곡을 함께 들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동요듣기

주제별 동요듣기

각 동요마다 가사가 제공되고, 노래를 들을 수 있고, 미디로 반주만 제공되기도 하고 악보까지 볼 수 있습니다.
노래에 따라서는 그 노래의 간략한 설명이나 사진같은 자료도 볼 수 있게 되어 있네요.
동요가사






반응형
2008. 12. 17. 13:39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을 직접 만들자

반응형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은 검색결과를 제공해 주는 여러 사이트들을 일일이 방문하지 않고 바로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도구로 아래 그림과 같이 파이어폭스의 주소입력 창 바로 옆에 달려 있습니다.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


여기서는 일반적인 웹사이트 검색에서 사전, 쇼핑 혹은 자신이 주로 가는 특정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기능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검색사이트 외에도 아래 링크에서 수많은 검색사이트들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으며, 자신이 찾고자 하는 검색사이트가 없을 경우는 자신이 직접 만들어서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파이어폭스 검색 사이트 플러그인을 제공해 주는 site
http://mycroft.mozdev.org/

오늘 마침 기존에 사용하던 Naver 한영사전 대신에 Google 한영사전을 추가해서 사용해 보려고 했더니... 아직 구글 사전이 등록되어 있지 않네요.
그래서 이참에 Google 한영사전 사이트 플러그인을 직접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 생성을 위해 먼저 아래 link로 이동합니다.
http://mycroft.mozdev.org/submitos.html

간단히 몇개의 입력만으로 플러그인을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


여기서 기본적으로 입력해야 할 항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Choose Icon: 검색창에 나타내주는 Icon 파일의 위치입니다. 직접 만드시거나 검색사이트에서 다운 받아 쓰실 수 있습니다.
Reference: 나중에 update 할때 참조할 이름 같은 것입니다. update는 아직까지 자동으로 제공되지 않고 있습니다.
Your name: 만든사람 이름
Your email: 만든사람 이메일 주소(뒤에 있는 include email in Plugin? 을 선택하면 plugin 소스내에 자신의 메일 주소가 첨부됩니다.
Plugin Name: 만들려고하는 플러그인의 이름입니다.
Plugin Description: 만들려는 필러그인의 설명입니다.
Search URL: 검색 결과를 제공해 주는 사이트의 URL입니다. 제가 만들고자 하는 Google 사전에서 test라는 단어로 검색을 한 번 해 보면 주소창에 URL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http://www.google.co.kr/dictionary?langpair=en|ko&q=test&hl=ko 
여기서 검색을 위해 입력했던 test라는 단어를 {searchTerms}로 바꿔만주면 됩니다. 그러면 Google 사전의 경우 여기에 입력할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www.google.co.kr/dictionary?langpair=en|ko&q={searchTerms}&hl=ko
뒤에 있는 get과 port는 값을 전달하는 방식의 차이인데 저는 get을 사용했습니다.
Search Form URL: 여기는 검색창에서 아무런 값을 입력하지 않았을 시 보여줄 URL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앞의 예에서 query를 나타내는 q={searchTerms}&hl=ko 부분을 제외하고 다음과 같이 입력했습니다.
본인이 추가하려는 곳에서 제대로 되는지는 미리 test 해 보시면 됩니다.
http://www.google.co.kr/dictionary?langpair=en|ko
Plugin category: 만들려는 플러그인의 분류를 정의 하는 곳입니다. 저는 사전이기 때문에 Dictionary로 선택했습니다.
Plugin country: 검색을 제공하는 사이트의 국가를 지정하는 곳입니다. 한국어만 지원하는 곳이라면 korea로 선택하면 됩니다.
Language of the results: 검색 결과의 언어를 지정하는 곳입니다.

여기까지 입력을 해 주고 "Generate Plugin"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XML내용이 생성이 됩니다.
이것을 제출하기 전에 먼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을 해 봐야 합니다.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

"Install Plugin" 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지금 바로 사용"을 체크하고 추가를 누릅니다.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


이제 아래와 같이 검색창에 앞에서 만든 Plugin이 추가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아직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이콘은 입력한 대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


이것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실제 값을 입력해서 조회해 보고, 또 값 없이도 조회하여 앞에서 설정한대로 잘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잘 동작되지 않는다면 원인을 찾아서 입력값을 수정한 후 "Generate Plugin"을 다시 누르고 기존에 install된 plugin을 삭제한 후 다시 install하여 test 해 봅니다.

이렇게 해서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확인했다면 마지막으로 "Submit Plugin"을 눌러 제출을 합니다.
이제 icon에 문제 없이 제대로 제출이 되었다는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


여기서 Your plugins를 눌러보면 본인이 만든 플러그인들을 볼 수 있으며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제 정식으로 등록된 플러그인을 추가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아이콘까지 정상적으로 보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


마지막으로 한 번 더 test를 해 보니 정상적으로 동작하네요.
파이어폭스 검색사이트 플러그인


이제 검색을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가 있다면 이렇게 직접 만들어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반응형